<질의>
아동복지법 제4조제1항의 규정에 의거 드림스타트사업 업무를 수행하는 민간전문
인력인 아동통합서비스전문요원(기간제근로자)의 노무관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질의함.
2014.3.1.부터 2015.2.28.(1년)간 근무한 아동통합 서비스전문요원이 재계약을 통해
2015.3.1.부터 12.31.(10개월)까지 근무하는 경우(업무내용 및 사업장은 동일)
‒ 휴가일수 산정 시 이전 근무경력 1년을 인정하여 「근로기준법」 제60조제1항에
따른 휴가일수 15일 부여가 가능한지 여부
‒ 만일 재계약 기간(10개월)이 1년 미만으로 휴가일수 15일 부여가 인정되지
않는다면 이 경우 휴가일수 산정방법
<회시>
「근로기준법」 제60조제1항에 따라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
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며, 동조 제2항에 따라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시
1일의 유급 휴가를 주어야 함.
‒ 여기서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라 함은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해지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하는 것으로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의 경우 그 계약기간의
만료로 고용관계는 종료되는 것이 원칙이나, 근로계약이 만료됨과 동시에 근로
계약기간을 갱신하거나 동일한 조건의 근로계약을 반복하여 체결한 경우에는
갱신 또는 반복한 계약기간을 모두 합산하여 계속근로연수를 계산하여야
함(대법원 1995.07.11. 선고 93다26168 판결 참조).
귀 질의 내용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은 곤란하나,
기간제근로자의 근로계약기간이 만료된 후 근로계약기간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내용으로 근로계약을 갱신 체결한 것으로 보여지는 바, 이 경우 달리 볼 사정이
없는 한 연차휴가를 산정하기 위한 계속근로기간은 최초 근로제공일부터 기산하여야
하며, 갱신 체결한 근로계약기간의 장・단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아님.
(근로기준정책과‒1725, 2015.4.2
'인사노무관리 > 인사노무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부터 시행되는 노동법상 제도> (0) | 2021.12.28 |
---|---|
<기간제근로자와 연차휴가> (0) | 2021.12.25 |
병가 사용 시 연차유급휴가를 먼저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근로기준법」위반인지 (0) | 2021.12.25 |
<1년 2개월 근무 시의 연차휴가는 몇 개?> (0) | 2021.12.25 |
1년 근무기간 도중의 연차유급휴가 발생 여부 (0) | 202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