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질의>
「국어기본법」 제19조제2항, 같은 법 시행령 제13조제1항에 따른 ‘한국어교원자격자’를
「기간제법 시행령」 제3조제1항제3호 별표2 전문자격의 종류에 포함할 수 있는지 ?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소지하고 한국어교육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예외사유로
추가 포함시킬 예정인지 ?
<회시>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기간제법”이라 함) 제4조
제1항 본문에 따르면 사용자는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기간제 근로계약의
반복갱신 등의 경우에는 그 계속근로한 총기간이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고, 제2항에서는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
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제근로자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보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법 제4조제1항제6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제1항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총 사용기간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 법령 조항에 규정하고 있지 않은 전문자격을 소지하고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사용기간제한의 예외라고 볼 수 없고,
‒ 아울러 귀 질의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소지하고 한국어교육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사용기간제한의 예외사유로 추가 포함시킬지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논의한 바
없음을 알려 드립니다.
(고용차별개선과‒1617, 2015.9.1.)
728x90
반응형
'비정규직 > 기간제 근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거노인생활 지원을 위한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및 ‘독거노인생활지도사파견사업’의 사용기간제한 예외여부 (0) | 2021.03.06 |
---|---|
재직 중 박사 학위 취득자의 「기간제법」 상 사용기간제한 예외 해당 여부 (0) | 2021.03.06 |
TA 근로자가 기간제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에 해당하는지 (0) | 2021.02.27 |
<기간제법상 ‘사업의 완료 또는 특정한 업무의 완성에 필요한 기간을 정한 경우’의 의미> (0) | 2020.12.14 |
박사학위 상당경력자가 기간제근로자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에 해당하는지 (0) | 2020.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