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질의>
아파트를 자치 관리하는 경우에는 입주자대표회의가 사측이 되는 것에는 이의가
없으나 위탁관리를 하는 경우에는 사측의 대표가 불분명한 바, 다음의 경우 어떤
측이 사측이 되는지?
-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아파트입주자의 대표로서 관리사무소 직원의 근로조건
(특히 임금 등)에 대한 결정권이 있음
- 위탁관리회사: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계약에 의거 계약한도내에서 관리업무를
위임받아 수행하며 관리사무소 직원의 근로조건에 대한 결정권이 없으나 관리
사무소 직원의 임명권은 있음
- 아파트관리사무소장:위탁관리회사에 고용되어 회사를 대리하여 해당
아파트단지에 상시 근무하면서 관리업무를 수행하며 근로조건에 대한 결정권과
직원에 대한 임명권은 없음
<회시>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노사협의회는 근로조건 결정권이
있는 사업 또는 사업장 단위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바, 아파트관리사무소
직원에 대한 근로조건 결정권이 아파트관리사무소에 있다면 당연히 노사협의회를
설치해야 함
○ 이 경우 관리사무소장이 근로조건 결정을 단독으로 행사하지 않고 아파트입주자
대표회의의 동의 또는 결정을 따라야 한다 하더라도 관리사무소장이 전반적인
사업관리에 최종적인 책임을 지고 직원에 대한 업무지시권을 가지며 급여를
지급하는 등 당해 사업장의 최고 사업경영담당자로서의 지위를 가진다면 사업장의
대표자로 볼 수 있을 것임
(노사 68107-197,’97.7.16)
728x90
반응형
'노동조합과 단체협약 > 노사협의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직 근로자를 제외하고 생산직 근로자만을대상으로 노사협의회를 운영할 수 있는지 (0) | 2020.11.14 |
---|---|
사립대학교의 노사협의회 설치여부 (0) | 2020.11.14 |
사업장 소재지와 근무여건이 다를 경우노사협의회 설치 (0) | 2020.11.14 |
근로조건 결정권이 없는 사업장에 노사협의회설치가 가능한지 여부 (0) | 2020.11.14 |
비영리협회 사무처에도 노사협의회를 설치해야하는지 (0) |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