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노무관리

연장근로시 휴게시간 부여 의무가 있는지

728x90
반응형

<질의>

「근로기준법」 제54조에서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이 경우 하루 8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는 경우, 연장근로 4시간에 대하여
30분 이상, 8시간이 상시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기준법」 제54조에
의거하여 부여할 법적 의무가 있는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노동부의 공식적인 의견을 듣고자 함.


참고적으로 당 노무법인은 휴게시간 부여의 입법 취지가 장시간 근로에 의한
근로자의 피로를 풀어주고, 노동력을 회복함은 물론 장시간 근로로 인한 피로
누적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미연에 예방하는데 있다고 보여지므로
법정 휴게시간을 법정근로시간 중에만 부여하여야 한다고 볼 수 없고, 따라서
소정근로시간을 계속하여 연장하여 연장근로를 하는 경우에도 통상 8시간의
근로시간당 연장근로시간 도중에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부여하는 것이 합당한
해석이라고 사료됨.

<회시>
「근로기준법」 제54조에 따른 휴게시간은 근로자의 건강을 위하여 최소한도로
필요한 시간을 정한 것으로 귀 질의와 같이 1일 8시간을 초과하여 발생한 연장
근로에 대하여도 동 규정이 적용된다 할 것임.
(근로조건지도과‒722, 2009.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