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대학 재학 중에서 민소법의 대가 이시윤 전 감사원장님의 '민법연습'이라는 강좌를 수강한 적이 있습니다. 법원실무의 해박한 해설에 감탄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강의 중에서 기억나는 것이 '장래이행의 소'입니다. 국토이용관리법상 허가조건부 소송이 장래이행의 소를 활용한다는 실무적인 내용이 아직도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런데 실무에서 바로 이 장래이행의 소는 장래의 차임청구의 소와 같이 현재와 장래이행의 소로 활용이 됩니다. 약방의 감초처럼 장래이행의 소는 그 적법요건으로 '미리 이행할 필요'가 쟁점이 됩니다.
2022다286786 건물인도 (자) 파기자판(원고패)
[장래이행의 소의 적법성 여부가 문제된 사건]
◇계약 종료에 따른 장래의 인도청구의 소에서 ‘미리 청구할 필요’ 판단 시 유의할 점◇
이행의 소는 청구권의 이행기가 도래한 경우에 한하여 허용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행기가 도래하더라도 채무자가 임의이행을 거부할 것이 명백히 예상되는 상황과 같이 예외적으로 채권자로 하여금 이행기에 이르러 소를 제기하게 하는 것보다 미리 그 집행권원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이행기가 도래하면 곧바로 강제집행을 할 필요가 인정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민사소송법 제251조에서 ‘장래이행의 소’를 정하였다.
장래이행의 소가 적법하기 위해서는 청구권 발생의 기초가 되는 법률상․사실상 관계가 변론종결 당시 존재하여야 하고, 그 상태가 계속될 것이 확실히 예상되어야 하며, 미리 청구할 필요가 인정되어야만 한다(대법원 2000. 8. 22. 선고 2000다25576 판결 등 참조). 그런데 장래이행의 소는 통상적인 이행의 소의 예외에 해당하는 것일 뿐 채무자의 무자력에 따른 강제집행의 곤란에 대비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 아니다. 더구나, 쌍무계약관계의 이행기가 도래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당사자 일방에 대하여 선제적으로 집행권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자칫 계약관계의 균형이 상실되어 상대방 당사자의 계약상 권리가 침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래의 이행기에 이르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계약상 다양한 변화를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이행기 당시 쌍방 당사자의 권리의무관계와 집행권원이 모순․충돌되는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장래이행의 소의 적법 여부는 엄격한 기준에 따라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 원고가 임대차계약이 이미 기간만료로 종료되었음을 원인으로 건물인도청구를 하였다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원심 변론종결 직전에 제2 예비적 청구로 약 1년 8개월 후 임대차계약의 종료에 따른 건물인도청구를 추가한 사안에서, 임대차보증금・권리금・차임 등에 관한 언급 없이 단지 장래의 인도청구권에 관한 집행권원을 부여하는 내용의 원고의 화해권고 요청에 피고가 응하지 않았다는 사정만으로는 ‘미리 청구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여, ‘장래이행의 소’인 제2 예비적 청구를 인용한 원심을 파기하고 자판하여 이 부분 소를 각하한 사례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행금지청구의 권리남용 해당 여부에 관한 판단 기준◇ (0) | 2023.03.19 |
---|---|
<이준석 전 대표의 윤석열 정부 노동정책에 대한 주장을 음미하며> (0) | 2023.03.19 |
집합건물법상 관리단의 소송상 지위 :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1다239301 판결 (0) | 2023.03.17 |
<보험회사의 양수금청구와 소송신탁> (0) | 2023.03.08 |
[개업공인중개사가 서명 및 날인하여야 하는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의 의미가 문제된 사건]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