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탁이란 글자 그대로 어떤 행위를 믿고 맡기는 행위입니다. 그러나 그냥 맡기는 경우는 현실에서는 없습니다. 일정한 대가를 지불해야 합니다. 그리고 합리적, 체계적 방법이 더해져야 합니다. 변호사법이라는 사회적 합의가 있기에 그 어떤 행위라도 마냥 맡길 수도 없습니다. 적어도 소송행위만큼은 금지하여야 합니다. 신탁법은 그렇게 소송행위를 신탁으로 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다음 대법원의 사례는 소송신탁으로 무효인 행위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피보험자, 즉 일반서민에게는 보험회사에 퉁쳐서 맡기도 소송신탁을 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법과 현실은 역시 다를 수 있습니다.
2021다304045 손해배상(기) (바) 상고기각
[실손의료보험계약의 보험자가 피보험자들에 대한 보험금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하여 피보험자들의 요양기관에 대한 진료비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채권을 대위행사하다가, 피보험자들 중 1인의 피보험자로부터 진료비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채권을 양도받아 요양기관을 상대로 양수금을 청구하는 사안]
◇이러한 채권양도가 소송행위를 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송신탁에 해당하여 무효인지 여부◇
소송행위를 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채권양도가 이루어진 경우 그 채권양도가 신탁법상의 신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신탁법 제6조가 유추적용되므로 이는 무효이다. 소송행위를 하게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지는 채권양도계약이 체결된 경위와 방식, 양도계약이 이루어진 후 제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적 간격, 양도인과 양수인의 신분관계 등 제반 상황에 비추어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8. 10. 25. 선고 2017다272103 판결)
☞ 실손의료보험계약의 보험자인 원고는 피보험자들에 대한 보험금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채권자대위소송을 제기하였다가 다수의 유사한 채권자대위소송이 패소 판결을 선고받자, 소제기 후 상당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피보험자들 중 1인의 피보험자로부터 요양기관인 피고에 대한 진료비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채권을 양도받아 양수금청구를 함
☞ 소송신탁에 관한 법리와 원심이 인정사실 및 실손의료보험계약에 관한 양도인과 원고의 사이의 계약내용 및 의사의 불명확성 등에 비추어 이 사건 양도인이 원고에게 피고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채권을 양도한 것은 소송행위를 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송신탁에 해당하여 무효라는 원심의 판단을 수긍하여 상고를 기각한 사안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