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
다단계 하도급구조로 인한 건설현장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임금체불을 방지
하고자 개정된 법 규정에 대하여 몇 가지 궁금한 내용이 있어 문의함.
(질의 1) 이 법에서 발주처도 직상수급인이 될 수 있는지 ?
(건설업등록증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질의 2) 발주처에서 원수급인으로 도급된 것도 법 규정 중 “2차례 이상”에 포함
되는지 ?
(질의 3) 원수급인이 하수급인으로부터 건설공사가 완료되어 공사대금을 지불
하였으나, 하수급인이 임금을 체불한 경우 직상수급인의 연대책임이 있는지 ?
(원수급인과 하수급인 간의 채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질의 4) 제44조의3에 따라 원수급인이 아닌 발주처에서 근로자의 임금을 직접
지급할 수 있는지 ?
(질의 5) 개정법은 근로자의 임금에만 적용 또는 현장 장비대 등도 포함되는지 ?
<회시>
(질의 1, 2, 3)에 대하여
‒ 「근로기준법」 제44조의2에서 건설사업이 2차례 이상 공사도급이 이루어진 경우에
건설업자가 아닌 하수급인이 그가 사용한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직상수급인에 대하여 임금지급의 연대책임을 지도록 규정하고 있음.
‒ 위 규정에서 “발주자”는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에 따라 건설공사를 건설업자에게
도급하는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44조의2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발주자로부터
2차례 이상의 공사도급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발주자는 직상수급인이 될 수 없음.
‒ 또한, 발주자에서 원수급인에게의 도급은 1차례의 도급으로서, 이 경우 2차례
이상 공사도급이 이루어진 경우에 해당하지 않음.
‒ 「근로기준법」 제44조의2는 직상수급인의 귀책사유와 상관없이 건설업자가 아닌
자에게 하도급이 이루어진 경우에 임금 지급 연대책임을 규정하고 있음.
(질의 4, 5)에 대하여
‒ 「근로기준법」 제44조의3에서 건설업의 공사도급에 있어서의 임금에 관한 특례를
규정하고 있는 바, 이때 “도급이 이루어진 경우”라 함은 원수급인에서부터
도급이 1차례 이상 이루어진 경우를 말함.
‒ 따라서 귀 질의 상의 원수급인이 아닌 발주처에서 근로자의 임금을 직접 지급할
의무는 없으며, 또한 하수급인의 근로자들이 직상수급인에 대하여 청구할 수
있는 임금은 해당 건설공사에서 발생한 임금으로 한정된다고 사료됨.
(임금근로시간정책팀‒508, 2008.2.28.)
'인사노무관리 > 임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금포기와 4대 보험 대납약정에 대한 판결> (0) | 2020.05.27 |
---|---|
<임금채권의 강제집행상 취급> (0) | 2020.05.22 |
원도급인(발주자)이 임금체불 연대책임이 있는 직상수급인에 해당하는지 (0) | 2020.05.17 |
「근로기준법」 제37조[현 「근로기준법」 제38조]제2항의 최종 3월분의임금에 포함되는 상여금의 범위 (0) | 2020.05.17 |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CCTV 수당을 통화가 아닌 회사 발행의 구내매점용 물품구입권 형태로 지급한 경우 통상임금성 여부 (1) |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