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정규직

고령자에 대한 기간제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 해당여부 판단시점

728x90
반응형

<질의>

기간제근로자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 해당 여부

 

<회시>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기간제법”이라 함) 제4조

제1항 본문에 따르면 사용자는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기간제

근로계약의 반복갱신 등의 경우에는 그 계속근로한 총기간이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고, 같은 조 제2항에서는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제근로자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로 본다고 정하면서,

 

‒ 「기간제법」 제4조제1항 단서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로 사용하더라도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로 보지 아니하는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 규정을 두고 있음

 

「기간제법」 제4조제1항 단서의 제4호에서는 “「고령자고용촉진법」 제2조제1호의

고령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를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 사유로 규정하고 있고,

 

‒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제1항에 따르면 만55세 이상인 사람을 고령자로 규정하고 있음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기간제 근로계약을 최초로 체결할 당시 근로자가 만55세

이상인 경우 또는 계속근로기간이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한 때에 기간제 근로계약을

갱신하면서 당시 근로자의 연령이 만55세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기간제법」 제4조

제1항제4호에 해당된다고 보아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최근 대법원도 같은

취지의 판결을 내린 바 있음(대법 ’13.5.23. 선고 2012두18967)

 

따라서 최초 근로계약을 체결하거나 갱신하는 시점에서는 고령자에 해당하지

아니하였으나 근로계약기간 중에 비로소 만55세가 된 근로자의 경우, 계속근로한

기간이 2년을 초과하는 시점에서는 고령자에 해당된다 하더라도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라고 볼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해당 근로자는 무기계약 근로자로 간주되어야

할 것임

 

아울러, 기존의 행정해석 중 위 해석과 배치되는 행정해석(고용차별개선정책과‒

904, ’09.7.28., 고용평등정책과‒315, ’11.2.11. 등)은 이 회신과 동시에 폐지함을

알려드림

(고용차별개선과‒1482, 2013.7.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