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노무관리

<개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중 플랫폼 종사자>

728x90
반응형

법률의 속성은 사회의 변화를 선도하기 보다는 기왕의 변화를 반영한다는 속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재판이란 과거의 사실을 토대로 그 시점에서의 법률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언제나 과거지향적일 수밖에 없기에, 그 법률을 적용하는 법관의 정치성향은 보수성향인 경향이 강합니다. 그러나 사회는 부단하게 변화하는 속성, 즉 진보성이 있으며, 법률의 개정작업은 변화를 담아야 하고 법관은 그 변화에 담긴 국민의 눈높이를 수용해야 합니다.

 

지방선거를 목전에 둔 2022. 5. 16.에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법)의 개정이 있었습니다. 그 내용은 구 산재법 제125조 소정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특고)의 요건인 전속성의 폐지입니다. 125조 제1항 제1호 소정의 주로 하나의 사업에 그 운영에 필요한 노무를 상시적으로 제공하고 보수를 받아 생활할 것이라는 요건이 바로 전속성의 요건인데, 그 의미는 배달원 등 특고에 종사하는 플랫폼 종사자가 산재보상을 받으려면 주로 하나의 사업에 종사하여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요건은 속칭 투잡으로 배달을 하는 플랫폼 종사자의 현실을 외면하여 산재보상의 취지를 몰각한다는 비난을 받았습니다. 말하자면, ‘전속성이라는 요건은 비현실적인 규제라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플랫폼 종사자인 배달 종사자는 배달콜이 올 경우에만 근무를 하고 나머지 시간은 다른 직업을 갖는 경우가 보통입니다. 물론 다른 업체의 배달콜을 기다리는 것도 흔한 사례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 전속성의 요건을 구비하지 못하였다고 하여 산재보상을 외면한다면 특고의 산재보상제도는 도입취지가 무색해집니다. 그래서 마침내 현장에서의 원성을 수용하는 산재법의 개정이 이루어졌습니다.

 

떡을 본 김에 제사를 지내는 법입니다. 산재법의 개정을 맞아 과거 특고라는 명칭에서 노무제공자’, 그리고 플랫폼을 통하여 노무를 제공하는 경우를 전제로 플랫폼 종사자를 도입하였습니다. 개정 산재법 91조의15노무제공자란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사업을 위하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에 따라 자신이 직접 노무를 제공하고 그 대가를 지급받는 사람으로서 업무상 재해로부터의 보호 필요성, 노무제공 형태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라고 규정하여 구 산재법하의 특고의 개념을 노무제공자라는 개념으로 바꿔서 전속성과 무관하게 직접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으로 규정하고 전자적 정보처리시스템을 통한 노무의 제공을 플랫폼을 통한 노무의 제공으로 보았습니다. 플랫폼 종사자란 플랫폼의 개념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법률의 내용을 보면 뭔가 어렵다는 생각도 들지만, ‘쿠팡이나 배달의 민족’, 그리고 카카오택시등 기존의 플랫폼을 법률적 술어로 풀이한 것에 불과합니다. 말하자면, 개정 산재법은 전속성과 무관하게 플랫폼 종사자의 산재보상을 가능하게 했다는 의미입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법률의 개정은 그 적용시기가 관건입니다. 적용시기는 부칙이 정하는 것이 법률의 속성입니다. 개정 산재법 부칙 제1조는 2023. 7. 1.부터 적용됨을 명백히 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국회에서 발표한 개정 산재법의 취지와 주요 내용입니다. 이것만 읽어도 본전은 건집니다.

 

현재 특수형태근로종사자가 산재보험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특정 사업에의 전속성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는데, 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해 복수의 사업에 노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산재보험 보호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음. 또한, 특수형태근로종사자가 특정 사업에의 전속성요건을 충족하더라도, 주된 사업장 외의 보조사업장에서 업무상 재해를 입은 경우에는 산재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상황임.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
125(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특례) 계약의 형식과 관계없이 근로자와 유사하게 노무를 제공함에도 근로기준법등이 적용되지 아니하여 업무상의 재해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는 사람으로서 다음 각 호의 모두에 해당하는 사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이하 이 조에서 특수형태근로종사자라 한다)의 노무(勞務)를 제공받는 사업은 제6조에도 불구하고 이 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으로 본다
1. 주로 하나의 사업에 그 운영에 필요한 노무를 상시적으로 제공하고 보수를 받아 생활할 것
2. 노무를 제공할 때 타인을 사용하지 아니할 것
특수형태근로종사자는 제5조제2호에도 불구하고 이 법을 적용할 때에는 그 사업의 근로자로 본다. 다만, 특수형태근로종사자가 제4항에 따라 이 법의 적용 제외를 신청한 경우에는 근로자로 보지 아니한다
사업주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로부터 노무를 제공받거나 제공받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는 이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단에 신고하여야 한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사유(이하 적용제외 사유라 한다)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또는 사업주는 보험료징수법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단에 이 법의 적용 제외를 신청할 수 있다
1. 특수형태근로종사자가 부상질병, 임신출산육아로 1개월 이상 휴업하는 경우
2. 사업주의 귀책사유에 따라 특수형태근로종사자가 1개월 이상 휴업하는 경우
3. 그 밖에 제1호 또는 제2호에 준하는 사유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4항에 따라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또는 사업주가 이 법의 적용 제외를 신청하여 공단이 이를 승인한 경우에는 신청한 날의 다음 날부터 이 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4항과 제5항에 따라 이 법의 적용을 받지 아니하는 사람이 적용제외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는 해당 사유가 소멸한 날부터 이 법을 적용한다. 이 경우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또는 사업주는 보험료징수법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단에 적용제외 사유의 소멸 사실을 알려야 한다
1항에 따라 이 법의 적용을 받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보험관계의 성립소멸 및 변경, 법 적용의 제외 신청 및 적용제외 사유의 소멸 사실 통지, 보험료의 산정신고납부, 보험료나 그 밖의 징수금의 징수에 필요한 사항은 보험료징수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보험급여의 산정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은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금액으로 한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보험급여 지급사유인 업무상의 재해의 인정 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9항에 따른 업무상의 재해가 보험료 체납기간 중에 발생한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업무상의 재해에 따른 보험급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급하지 아니할 수 있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보험급여의 지급 등에 필요한 사항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다


<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91조의15(노무제공자 등의 정의)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노무제공자란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사업을 위하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에 따라 자신이 직접 노무를 제공하고 그 대가를 지급받는 사람으로서 업무상 재해로부터의 보호 필요성, 노무제공 형태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 노무제공자가 사업주로부터 직접 노무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 노무제공자가 사업주로부터 일하는 사람의 노무제공을 중개알선하기 위한 전자적 정보처리시스템(이하 온라인 플랫폼이라 한다)을 통해 노무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2. “플랫폼 종사자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노무를 제공하는 노무제공자를 말한다.
3. “플랫폼 운영자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플랫폼 종사자의 노무제공을 중개 또는 알선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4. “플랫폼 이용 사업자란 플랫폼 종사자로부터 노무를 제공받아 사업을 영위하는 자를 말한다. 다만, 플랫폼 운영자가 플랫폼 종사자의 노무를 직접 제공받아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플랫폼 운영자를 플랫폼 이용 사업자로 본다.
5. “보수란 노무제공자가 이 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에서 노무제공의 대가로 지급받은 소득세법19조에 따른 사업소득 및 같은 법 제21조에 따른 기타소득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품을 뺀 금액을 말한다. 다만, 노무제공의 특성에 따라 소득확인이 어렵다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종의 보수는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금액으로 한다.
6. “평균보수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이 속하는 달의 전전달 말일부터 이전 3개월 동안 노무제공자가 재해가 발생한 사업에서 지급받은 보수와 같은 기간 동안 해당 사업 외의 사업에서 지급받은 보수를 모두 합산한 금액을 해당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다만, 노무제공의 특성에 따라 소득확인이 어렵거나 소득의 종류나 내용에 따라 평균보수를 산정하기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금액으로 한다.
91조의16(다른 조문과의 관계) 5조제2호에도 불구하고 노무제공자는 이 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로 본다.
6조에도 불구하고 노무제공자의 노무를 제공받는 사업은 이 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으로 본다.
91조의17(노무제공자에 대한 보험급여의 산정기준 등) 노무제공자의 평균보수 산정사유 발생일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노무제공자에 대해 제3장 및 제3장의2에 따른 보험급여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때에는 임금보수, “평균임금평균보수로 본다.
91조의156호에도 불구하고 업무상 재해를 입은 노무제공자가 평균보수 산정기간 동안 근로자(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용근로자는 제외한다)로서 지급받은 임금이 있는 경우에는 그 기간의 보수와 임금을 합산한 금액을 해당 기간의 총일수로 나누어 평균보수를 산정한다.
36조제3항 본문에도 불구하고 노무제공자에 대한 보험급여를 산정하는 경우 해당 노무제공자의 평균보수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년이 지난 이후에는 매년 소비자물가변동률에 따라 평균보수를 증감한다.
노무제공자에 대한 보험급여의 산정에 관하여는 제36조제5항 및 제6항은 적용하지 아니한다.
91조의18(노무제공자에 대한 업무상의 재해의 인정기준) 노무제공자에 대한 업무상의 재해의 인정기준은 제37조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을 적용하되 구체적인 인정기준은 노무제공 형태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91조의19(노무제공자에 대한 보험급여 산정 특례) 노무제공자에 대해서는 제54조에도 불구하고 제52조에 따라 산정한 1일당 휴업급여 지급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최저 휴업급여 보장액(이하 최저 휴업급여 보장액이라 한다)보다 적으면 최저 휴업급여 보장액을 1일당 휴업급여 지급액으로 한다.
재요양을 받는 노무제공자에 대해서는 제56조제2항에도 불구하고 제56조제1항에 따라 산정한 1일당 휴업급여 지급액이 최저 휴업급여 보장액보다 적거나 재요양 당시 평균보수 산정의 대상이 되는 보수가 없으면 최저 휴업급여 보장액을 1일당 휴업급여 지급액으로 한다.
장해보상연금을 지급받는 노무제공자가 재요양하는 경우에는 제56조제3항에도 불구하고 1일당 장해보상연금액과 제2항 또는 제56조제1항에 따라 산정한 1일당 휴업급여 지급액을 합한 금액이 장해보상연금의 산정에 적용되는 평균보수의 100분의 70을 초과하면 그 초과하는 금액 중 휴업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은 지급하지 아니한다.
1항 및 제2항에 따라 최저 휴업급여 보장액을 1일당 휴업급여 지급액으로 하는 노무제공자가 그 요양기간 중 일정기간 또는 단시간 취업을 하는 경우에는 제53조제1항 단서에도 불구하고 최저 휴업급여 보장액(별표1 2호에 따라 감액하는 경우에는 그 감액한 금액)에서 취업한 날에 대한 보수를 뺀 금액을 부분휴업급여로 지급할 수 있다.
91조의20(노무제공자에 대한 보험급여의 지급) 노무제공자의 보험급여는 보험료징수법에 따라 공단에 신고된 해당 노무제공자의 보수를 기준으로 평균보수를 산정한 후 그에 따라 지급한다.
수급권자는 신고 누락 등으로 인하여 제1항에 따라 산정된 평균보수가 실제 평균보수와 다르게 산정된 경우에는 보험료징수법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수에 대한 정정신고를 거쳐 이 법에 따른 평균보수 및 보험급여의 정정청구를 할 수 있다.
노무제공자에 대한 보험급여의 지급 등에 필요한 사항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다.
91조의21(플랫폼 운영자에 대한 자료제공 등의 요청) 공단은 플랫폼 종사자에 관한 보험사무의 효율적 처리를 위하여 플랫폼 운영자에게 해당 온라인 플랫폼의 이용 및 보험관계의 확인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자료 또는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플랫폼 운영자는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그 요청에 따라야 한다.
1. 플랫폼 이용 사업자 및 플랫폼 종사자의 온라인 플랫폼 이용 개시일 또는 종료일
2. 플랫폼 이용 사업자의 보험관계와 관련된 사항으로서 사업장의 명칭주소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보
3. 플랫폼 종사자의 보험관계 및 보험급여의 결정과 지급 등과 관련된 사항으로서 플랫폼 종사자의 이름직종보수노무제공 내용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료 또는 정보
116조의 제목 사업주의 조력사업주 등의 조력으로 하고, 같은 조 제4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91조의152호에 따른 플랫폼 종사자는 보험급여를 받기 위해 필요한 경우 노무제공 내용, 노무대가 및 시간에 관한 자료 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제91조의153호에 따른 플랫폼 운영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플랫폼 운영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해당 자료 또는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117조제1항 중 보험사무대행기관보험사무대행기관 또는 제91조의153호에 따른 플랫폼 운영자로 한다.
125조를 삭제한다.
129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를 각각 제2항부터 제4항까지로 하고, 같은 조에 제1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하며, 같은 조 제4(종전의 제3) 1항 또는 제2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으로 한다.
91조의21을 위반하여 자료 또는 정보의 제공 요청에 따르지 아니한 자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별표 1 1호 본문 중 52조 및 제5652, 56조 및 제91조의192으로 하고, 같은 표 제2호 중 본문 및 제54조제2본문, 54조제2항 및 제91조의191으로 한다.


<부칙>
1(시행일) 이 법은 202371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8조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2(부분휴업급여에 관한 적용례) 53조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이후 지급사유가 발생한 부분휴업급여부터 적용한다.
3(노무제공자에 대한 보험급여의 산정기준 등에 관한 적용례) 91조의171항부터 제3항까지 및 제5항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새로 요양 또는 재요양을 시작하는 노무제공자부터 적용한다.
91조의174항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당시 요양 또는 재요양을 받고 있는 노무제공자에게도 적용하되, 이 법 시행 후 평균보수를 증감하는 경우부터 적용한다.
4(노무제공자에 대한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에 관한 적용례) 91조의18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발생하는 재해부터 적용한다.

이에 산재보험의 전속성 요건을 폐지하고 노무제공자의 정의를 신설하며, 이로 인하여 새롭게 산재보험을 적용받는 사람들의 노무제공 특성에 맞는 산재보험 적용징수 체계와 급여보상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산재보험을 통한 보호 범위를 보다 확대하려는 것임. 아울러, 특수형태근로종사자가 개정법률 공포 이후 시행일 전까지의 기간 중에 주된 사업 외의 사업에서 업무상 재해를 겪은 경우에도 산재보험이 적용될 수 있도록 특례를 두고자 함(안 제91조의15부터 제91조의21까지 신설, 부칙 제8조 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