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의 형사소송법 원칙 중에서 인류에게 선물한 위대한 법칙이 전문법칙입니다. 굳이 '죄수의 딜레마'까지 언급할 필요가 없이 공범자는 책임전가의 경향이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은 검사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법원은 여기에서의 '내용인정'을 '성립진정'과 달리 진술한 내용이 실제 사실과 부합한다는 것이라고 판시하였습니다. 그리고 당해 피고인만이 아니라 공범자의 진술을 청취한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도 당해 피고인이 내용을 부인하면 증거능력이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023도3741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등 (자) 상고기각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의 해석]
◇1.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에서 ‘내용을 인정할 때’의 의미, 2. 같은 항의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범위◇
1. 2020. 2. 4. 법률 제16924호로 개정되어 2022. 1. 1.부터 시행된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은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대하여 ‘적법한 절차와 방식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서 공판준비, 공판기일에 그 피의자였던 피고인 또는 변호인이 그 내용을 인정할 때에 한정하여 증거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다. 여기서 ‘그 내용을 인정할 때’라 함은 피의자신문조서의 기재 내용이 진술 내용대로 기재되어 있다는 의미가 아니고 그와 같이 진술한 내용이 실제 사실과 부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대법원 2023. 4. 27. 선고 2023도2102 판결 참조).
2.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에서 정한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란 당해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만이 아니라 당해 피고인과 공범관계에 있는 다른 피고인이나 피의자에 대하여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도 포함되고, 여기서 말하는 ‘공범’에는 형법 총칙의 공범 이외에도 서로 대향된 행위의 존재를 필요로 할 뿐 각자의 구성요건을 실현하고 별도의 형벌 규정에 따라 처벌되는 강학상 필요적 공범 또는 대향범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피고인이 자신과 공범관계에 있는 다른 피고인이나 피의자에 대하여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의 내용을 부인하는 경우에는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에 따라 유죄의 증거로 쓸 수 없다.
☞ 피고인과 변호인이 필로폰 매도 범행과 관련하여 필로폰을 매수한 ‘김○○에 대한 검찰 피의자신문조서 사본’에 대해 내용 부인 취지에서 증거로 사용함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밝혔음에도, 원심이 이를 증거로 하여 유죄 판단을 한 제1심 판결을 유지하였음
☞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이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에서 관한 법리를 오해한 것이지만, 적법하게 채택한 나머지 증거능력 있는 증거만으로도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기에 충분하므로, 위와 같은 원심의 일부 부적절한 판단이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다고 보아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함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의 사용자 뒷담화와 민·형사상 책임> (0) | 2023.06.14 |
---|---|
[자동차 매매계약과 횡령죄의 성부] (0) | 2023.06.13 |
[주권이 발행되지 않은 채 일괄예탁제도 등에 의하여 예탁된 것으로 취급되는 주식이 횡령죄의 재물에 해당하는지 문제된 사건] (0) | 2023.06.12 |
[녹음에 의한 유언의 효력 확인을 구한 사건] (0) | 2023.06.12 |
[선행 사건의 전자정보 압수·수색 과정에서 생성한 이미징 사본을 선행 사건의 판결 확정 이후 그 공범에 대한 범죄혐의 수사를 위해 새로 탐색·출력한 것이 위법한지 여부] (1) | 2023.06.12 |